정책연구실
home사업소개정책연구실
미래사회 대비, 선제적 사회서비스 정책연구
- 변화와 혁신을 리더하는 정책의제 생산
- 저출생․초고령화 사회 대비 인구 및 정책방향 제안
- 사회서비스 활성화 및 고도화 방안 모색
현장중심의 생애주기별·대상별 정책연구
- 현장중심형 생애주기별, 대상별 정책연구로 대구시민의 정책체감도 증진
- 시민의 행복과 수요기반 맞춤형 정책 개발
행복진흥원 소속시설 및 사업단 지원 연구
- 현장선도형 사업단 및 소속시설 서비스 질 향상 연구
- 수요맞춤형 사업단 및 소속시설 활성화 연구
2023년 추진사업
- 생애주기별 정책연구
생애주기별 | 연구명 |
---|---|
가족, 저출생 | ∙ 대구광역시 저출생 대응 정책과제 |
∙ (수탁) 저출생정책 벤치마킹을 통한 대구지역 초저출생 대응방안 | |
∙ 대구시 가족정책 방향과 향후 과제 | |
영유아 | ∙ 대구지역 영유아 발달지연 실태 및 지원 방안 |
청소년 | ∙ 대구지역 청소년 문화의집 운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 |
∙ 대구지역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방안 | |
청년 | ∙ 대구지역 가족돌봄청년(영케어러) 실태와 지원방안 |
∙ 대구지역 청년세대의 젠더인식 실태 및 대응방안 | |
∙ 대구시 사회적 고립·은둔형 청년 실태 및 정책지원방안 | |
노인 | ∙ 대구지역 노인일자리 현황과 정책과제 |
∙ 초고령사회 대비 대구 노인평생교육 현황과 정책방향 |
- 대상별 정책연구
대상별 | 연구명 |
---|---|
장애인·노숙인 | ∙ 노숙인 재활․요양시설 자립지원 매뉴얼 개발 |
∙ 대구시 성인발달장애인 가족의 복지실태 및 지원방안 | |
복지정책‧사회서비스 | ∙ 대구시 지역사회보장계획 활성화 방안 연구 |
∙ 대구시 주민참여형 복지안전망 강화 방안 연구 | |
∙ 대구시 사회서비스 고도화 방안 연구 | |
∙ 대구광역시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 중장기발전계획 수립 | |
평생교육 | ∙ (수탁) 대구광역시 평생교육 중장기계획 |
범죄예방 | ∙ 대구시 스토킹 실태 및 피해자 지원정책 연구 |
∙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 설립 사례 분석 | |
일생활균형, 일자리 | ∙ 대구지역 중소기업의 일생활균형 지원방안 |
∙ 대구지역 녹색 신산업 여성일자리 확충방안 | |
여성, 양성평등 | ∙ 2023 통계로 보는 대구 여성의 삶 |
- 정책연구 홍보, 연계사업
분야별 | 사업별 |
---|---|
홍보, 네트워크 | ∙ 대구여성가족정책포럼 ‘잇다’ 사업 |
∙ 여성정책네트워크 교류사업 | |
∙ 정책 Briefing 제작·홍보 | |
연계사업 | ∙ (수탁) 1인가구 안전환경 조성사업 |
∙ (수탁) 지역사회보장 균형발전 지원사업 |
- 대구성별영향평가센터 운영(지정기간‘21.1.1~‘23.12.31)
분야별 | 과제명 |
---|---|
센터 운영 | 2023 대구성별영향평가센터 운영 |
연구 | (수탁) 2023 특정성별영향평가 |
교육 | (수탁) 2023 찾아가는 양성평등 시민 교육 |